침치료를 알고 싶으면 12경락과 오수혈을 제대로 이해해야 한다

 침치료의 핵심 12경락과 오수혈 제대로 이해하기  


황제내경 소문에서는 

우리의 신체를 오장육부(五脏六腑)로 나누어 설명을 하고 있는데  


황제내경 영추편에는  

손에 6개의 경락, 발에서 6개의 경락으로 

오장육부에서 하나의 장인 심포를 더하여 

육장육부(六脏六腑)의 체계로 12개의 경락으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육장:심장(心), 심포(心包), 간(肝), 폐(肺), 신(肾),비(脾)

육부:위(胃), 소장(小肠), 대장(大肠), 방광(膀胱),담낭(胆),삼초(三焦)


많은 의학자들이 

오장 육부로 이론이 성립하고 발전하게 된 이유를 

자연과 우주의 현상을 

신체에 접목하려 하는데에 있다고 합니다. 


심포가 심장의 기능이 비슷하여 

심장과 심포를 심장으로 합하여 

육장에서 오장으로 만들게 되었습니다. 

오장은 오행(五行:木,火,土,金,水)에 부합되어 

이는 우주의 목성,화성,토성,금성,수성과 일치 하게 됩니다.


대부분은 오장육부의 이론으로 진료를 하지만    


침술에서는 

오장 육부의 이론이 아니라 

실체적인 육장육부의 경락을 기초로 

진단을 하고 치료를 하는게 정확합니다.


12경락 순환도
12경락


12경락이란? 


12개의 경락은 

손에서 몸통으로 연결되는 6개의 경락과 

발에서 몸통으로 연결되는 6개의 경락으로 

구성 됩니다.


황제내경 영추경 经脉편에서는 

12경락의 흐름 순서를 기술 하였는데 

폐, 대장, 위, 비, 심장, 소장, 방광, 신장, 심포, 삼초, 담낭, 간의 

순서로 12경락이 흐른다고 했는데 


예로 폐의 기의 운행을 보면 

복부의 중초에서 시작하여 대장과 위를 지나서 폐를 거쳐 팔쪽으로 흘러나와 

엄지 손가락 손톱 아래 내측에 연결됩니다.
  

대장은 검지 손가락에서 기의 운행이 시작되어 

팔을 거쳐서 몸통 안을 지나서 대장에 연결되고 

다른 기의 운행은 얼굴쪽으로 코구멍 옆에 연결되고 


위는 대장이 연결된 코구멍 옆에서 기의 운행이 시작되어   

몸통 안으로 위를 지나서 허벅지 앞을 거쳐

무릎밑 정강이 옆과 발등을 지나서 두번째 발가락에 연결됩니다.


비장은 엄지발가락 발톱 내측에서  발 내측면을  따라 

정강이와 허벅지 내측을 지나서 

몸통안으로 비장을 지나서 

목을 거쳐서 혀 밑바닥에 연결됩니다.    


 이런 형식으로 

12경락은 한 경락에서 다른 경락으로 이동하는데 

규칙적인 순행을 보여줍니다.


1. 폐는 몸통에서 손으로(3~5시) 

2. 대장은 손에서 몸통과 얼굴로(5~7시) 

3. 위는 얼굴에서 몸통을 지나 발로(7~9시)

4. 비는 발에서 몸통을 지나 혀밑으로(9~11시)


5. 심장은 몸통에서 손으로(11~13시) 

6. 소장은 손에서 얼굴과 몸통으로(13~15시) 

7. 방광은 얼굴에서 등뒤를 지나 발로(15~17시)

8. 신장은 발에서 몸통을 지나 혀근으로(17~19시) 


9. 심포는 몸통에서 손으로(19~21시) 

10. 삼초는 손에서 얼굴과 몸통으로(21~23시) 

11. 담낭은 얼굴에서 몸통을 지나 발로(23~1시) 

12. 간은 발에서 몸통과 머리로(1~3시) 


12경락이 한번 순행을 한다음 

다시 폐에서 기 운행이 시작을 합니다 


이런 순환 체계로 

한 경락이 2시간을  담당하는데

12경락이 모두 순환 되면 

24시간이 걸리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12경락은 몸의 모든 장기와 연결이 되어 있어서 

경락이 소통이 잘 되면 몸이 건강하고 

소통이 안되면 병이 생기게 됩니다.


예를 들면 

음식을 먹었는데 체한 증상이 나오거나

위염 증상이 있다면 

위경락(胃经)의 경혈(经穴)을 누르면 통증을 느낄수가 있고 

어느정도 물리적인 자극을 주면 

증상이 완화 되는것을 볼수 있습니다.    

 

황제내경을 저술한 선인들은 

각각의 장부와 몸전체에 

눈에 보이지 않은 선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그 선을 연결한것이 경락 입니다.


여러가지의 경락이 있는데 

그중 몸의 장기와 연결되고 

손발로 규칙적인 선의 흐름이 있는것이 12경락 입니다.

 

경락이 지나가는 자리를 선으로 표시를 하는데 

그 선에는 경혈이라는 것이 존재하여 

몸에 질병이 생길때 

경혈에 침, 뜸 , 추나등으로 자극을 주면 

경락의 기능이 활성화 되어 

질병이 자연 치유 되는 

특별한 기능을 가진 자리 입니다.

오수혈


오수혈 위치 효능및 오행   


황제내경 영추경에 오수혈에 대한 내용이 서술되어 있고 

영추경 내용 대부분은 오수혈을 이용한 치료 내용이 서술 되어 있습니다.

옛 선인들이 오수혈에 대해 그만큼 중요하게 여겼고 

치료 효과가 다른 경혈보다 뛰어나기 때문일 거라고 봅니다.  


오수혈은

12경락에만 있습니다.

그리고 경혈의 위치는 

손끝에서 시작하여 팔꿈치까지 , 

발끝에서 시작하여 무릎까지 

5개의 경혈이 있는데


九针十二原편에서  

所出为井(정) 所溜为荥(형) 所注为输(수) 所行为经(경) 所入为合(합)

정혈, 형혈, 수혈, 경혈, 합혈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本输편에서 

음경락과 양경락의 정혈에 대해서 차이를 두었는데 

음경락은 为井,

양경락은 为井 으로

이후 편작에 의해서 저술한 难经에서 

오수혈에 대한 오행의 첨가와 

기능을 보충 설명을 했는데


음경락의 오수혈은

, 荥,输,经,合

양경락의 오수혈은 

,荥,输,经,合


오수혈의 효능에서는  

主心下满,主身热,主体重节痛,主咳喘寒热,主逆气而泻

정혈은 가슴 답답함 

형혈은 열증

수혈은 몸이 무겁고 관절 통증

경혈은 몸의 한열과 기침 인후 통증

합혈은 장부의 관련된 질병(역기하고 설사)

이렇게 서술하고 있습니다.


오수혈에 오행을 첨가해서 

오행의 상생(相生) 상극(相克)의 원리를 이용하여

치료에 좀더 쉽게 접근하게 되었고 

오수혈 각각의 경혈 위치에 대한 주치 설명으로

치료의 범위가 넓어지게 됬습니다. 

 

오수혈의 풀리지 않는 의혹점과 해결  


12경락의 오수혈은 

음경락이든지 양경락이든지 

손끝, 발끝(발밑)에서 

정혈을 시작으로 

형혈, 수혈, 경혈, 합혈로 이어져 

팔꿈치와 무릎 까지 

5개의 경혈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경혈에서 나오는 기를 물로 비유를 하여 

정혈을 산에서 물이 솟는 우물과 같은 물의 근원지이고  

형혈을 우물에서 나온 샘물이 산골짜기의 계곡물이 되고 

수혈을 산골짜기의 계곡물이 실개천을 이루고 

경혈을 실개천이 큰 하천으로 되고 

합혈을 큰강과 바다에 합류하는 곳으로 

오수혈의 경혈을 설명을 하였습니다.


12경락의 경락 흐름을 보면 

양경락인 육부의 경락은 

기의 출발점이 손끝 발끝이기에 

오수혈의 혈자리 배치가 문제가 없지만


음경락인 육장의 경락은 

기의 출발점이 몸통에서 출발해서 

어깨나 고관절을 거쳐서  

팔꿈치 무릎을 거쳐 

손끝 발끝으로 가는것이라 

오수혈의 배치와 의미와 전혀 반대되는 

상황이 연출이 됩니다. 

즉, 팔꿈치와 무릎부근의 경혈이 

합혈이 아니고 정혈이 되며 

손끝 발끝의 경혈이 합혈이 되어야 맞는 것인데 

이에 대한 예기는 언급이 없고 


양경락이든지 음경락이든지  

오수혈의 배치는 

손끝 발끝의 혈이 

정혈로 시작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습니다.


이런 의문을 풀어주는 분이 계시는데 

의사이면서 도교 수행을 하는

 道医 祝华英 선생님 입니다.

도의 축화영
도의 축화영

도의 선생님이 저술한 

黄帝内经十二经脉---解密与应用에서는 

도가의 호홉법을 통해서 

체내의 12경락과 임독맥의 흐름을 

기재하였는데 


내용을 간단히 언급하면 

양경락이 손끝에서 몸통으로 기의 흐름이 생기면 

이와 동시에 음경락은 몸통에서 손끝으로 기운이 흐르게 됩니다.

이런 방식으로 2번의 기 순환을 거치면 

양경락과 음경락의 기순환 방향이 정반대로 움직이게 됩니다.

이렇게 2번의 기순환후 양경락과 음경락의 기순환 방향이 또 다시 바뀌게 됩니다.  


예로 폐경락과 대장 경락의 기 흐름을 설명하면 

폐는 몸통에서 손끝으로 기가 흐르면 

이와 동시에 대장은 손끝에서 몸통으로 기가 흐릅니다.

이런 식으로 2번을 순환하면 

폐는 손끝에서 몸통으로 

대장은 몸통에서 손끝으로 

기의 운행 방향이 달라지게 됩니다. 


이런 기의 순환이면  

기가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한번은 

손끝에서 팔꿈치로 

발끝에서 무릎쪽으로 배열된 

오수혈을  보게되고 

황제내경에 소개된 내용과 일치하게 됩니다.


오수혈 자침 위,신장 치료
오수혈 위, 만성신장염 침치료

오수혈은 내과의 특화된 경혈입니다


오수혈은 

기의 순환이 어떤 방향일지라도 

경혈의 위치가 바뀌지 않는

고정 불변의 자리이고 

각각의 경혈에 치료되는 부위와  

치료의 증상이 다르다는 것을

난경에서 설명을 하였습니다.


제 개인적인 임상 체험에서는 

오수혈은  장부의 질병 부위와 정도에 따라서 

오수혈의 경혈을 취하는 방법이 

달라 지는것을 알게 됬습니다.

장부의 어느 부위가 아프면 

오수혈의 어느 경혈을 취하고

질병의 정도가 심하면 

오수혈의 어떤 경혈을 얼마나 취하고

얼마나 유침을 해야 하는지 

각각의 상황이 다르다는것을 알게 됬습니다.


예를 들면 

방에 전등을 켜기 위해서 스위치를 올려야 하는데 

그 스위치가 오수혈의 경혈중 하나이고 

방에 전등의 밝기를 높이거나 낮출때 

전압을 조절하는 것도 

오수혈의 경혈에 해당합니다.


오수혈은 내과에 특화된 경혈입니다.

모든 내과 진료를 할수 있는 경혈이며 

질병 예방및 치료를 겸할수 있는 자리이기도 합니다.

그만큼 침치료 임상에서 중요한 경혈입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