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장의 기능과 경락및 경근
비장(脾脏)은
오행에서 토(土)에 속하고
방위(方位)의 관점에서 보면
중앙에 위치합니다.
중앙에 위치 하는 것은
한쪽으로 쏠림이 없는 것으로
동남서북에 영향을 모두 줄수 있으며
동시에 영향을 받을수 있는 위치 입니다.
脾胃为气血生化之源,后天之本。
비위는 기혈을 만드는 원천으로, 후천의 근본이 됩니다.
몸이 필요한 에너지원을 만드는 장소로
사람이 태어난 후로는
음식을 통해서 에너지원을 만드는데
그 장부가 비위 입니다.
비장의 기능
1. 脾主运化:
비장은 음식물을 아주 작은 정밀한 물질로 (精微)만들어 흡수하고 전신에 공급합니다.
(1)运化水谷:
1. 위장을 도와 精微(영양있는 물질)과
糟粕(쓸모 없는 물질)로 소화하여 분류 합니다
2. 영양있는 물질(精微)을 흡수합니다.
3. 흡수된 영양 물질을 전신에 공급합니다.
(2)运化水液
음식물 외의 흡수된 수분을
체내의 한곳에 머물지 않고
전신에 공급하고 운행하게 합니다
2. 脾主升清
清(청)은 흡수된 영양물질(精微)을 의미하며
비장의 특별한 기의 운동인 상승(上升)을 통해서
심장, 폐, 머리까지 전달하고,
심폐의 작용을 통해서 기혈(气血)을 만들어
전신에 영향을 공급합니다.
3. 脾主统血
비장은 혈액이 혈관 안에서 운행하도록
통솔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장과 형체, 구멍, 정서, 체액과의 관계(脾与形窍志液的关系)
1. 脾主四肢
비장은 비기(脾气)의 승청(升清)과 산정(散精) 작용으로
음식의 영양물질을 인체의 사지(四肢)로 보내
사지의 정상 생리 활동을 유지합니다.
2. 脾主肌肉( 脾在体合肉)
비장은 체(体)에서 근육을 담당합니다.
3.脾开窍于口: 其华在唇
비장은 입과 연결되어 있고, 입술에서 빛이납니다.
4.脾在志为思
비장은 정서 면에서 생각(思)을 담당합니다.
5. 脾在液为涎
비장은 체액에서 맑은 침을 담당합니다.
비장의 경락과 경근
![]() |
비장 경락 순환도 |
卷三经脉第十
脾足太阴之脉,起于大趾之端,循趾内侧白肉际,过核骨后,上内踝前廉,上踹内,循胫骨后,交出厥阴之前,上膝股内前廉,入腹,属脾,络胃,上膈,挟咽,连舌本,散舌下;其支者,复从胃,别上膈,注心中。
족태음 비경맥은, 엄지 발가락 끝단에 시작하여, 엄지 발가락 내측 적백근육 분계선을 따라서,엄지발가락 뒤의 核骨을 지난후, 내측 복사뼈 앞측을 지나서, 다리 종아리 근육의 내측을 지나고, 경골뒷면에서 간궐음경락 앞으로 교차하고 나와서,무릎과 허벅지 내측의 앞면으로 지나가고, 복부내에 도달하여, 비장에 입속하고, 위와 연결되며, 위로 횡경막을 지나, 인후를 감싸고 지나서, 혀근에 연결되고, 혀밑에 이른다; 그것의 지맥은, 다시 위에서 분리되어 나와서, 횡경막 위로 오른 후에, 심장에 연결된다.
是动则病,舌本强,食则呕,胃脘痛,腹胀,善嗳,得后与气则快然如衰,身体皆重。是主脾所生病者,舌本痛,体不能动摇,食不下,烦心,心下急痛,溏瘕泄,水闭,黄疸,不能卧,强立,股膝内肿厥,足大趾不用。为此诸病,盛则泻之,虚则补之,寒则留之,陷下则灸之,不盛不虚,以经取之。盛者,寸口大三倍于迎;虚者,寸口反小于人迎也。
족태음비경이 동하면 질병이 발생하는데, 혀가 경직되고, 음식을 먹으면 토하고, 위가 아프고, 복부팽만이 있으며, 자주 트름을 하며, 대변 혹은 방귀를 하고 난후 몸이 매우 가볍게 느껴져 병의 증상이 줄어드는것 같지만, 신체는 무거움 증상이 있다.
본 비경에서 주로 발생하는 질병은, 혀가 아프고, 신체는 활동하기가 어렵고, 음식을 먹을수 없으며, 가슴이 답답하며, 심장 아래가 급통이 있고, 대변이 묽고, 이질이 있으며, 소변이 막히고, 황달이 있으며, 편안하게 잠을 잘수가 없으며, 단지 겨우 서있을 뿐이며, 허벅지및 무릎 내측에는 부종이 생기고 차거워지며,엄지 발가락은 움직일수 없습니다. 이와 같은 증상은, 기가 항진하면 사법을 사용하고, 기가 부족하면 보법을 사용하고, 열증이 있으면 침자극만 주고, 한증이면은 침을 유침합니다. 기가 허해서 아래로 꺼지면 뜸을 사용하며, 실하지도 않고 허하지도 않으면 본 경락에서 치료 합니다. 기가 항진이되면 촌구맥이 인양맥보다 3배 크고, 기가 허하면 촌구맥이 반대로 인양맥보다 작다.
![]() |
비장 경근 순환도 |
卷四 经筋第十三
足太阴之筋,起于大指之端内侧,上结于内踝;其直者,络于膝内辅骨,上循阴股,结于髀,聚于阴器,上腹结于脐,循腹里,结于肋,散于胸中;其内者,著于脊。
족태음비경의 근은, 엄지 발가락 내측에 시작하며, 위로 내측 복사뼈에 연결되고; 그 위로 무릎 경골내측및 대퇴골 내측 뼈에 연결되어, 대퇴부 내측을 따라 올라가, 서혜부 대퇴골에 연결되고, 생식기에 모여서, 다시 위의 배의 배꼽을 지나, 배안으로 순환하여, 갈비뼈에 연결되고, 가슴 가운데에 연결된다; 그 안으로는, 척추에 부착된다.
其病足大指支内踝痛,转筋痛,膝内辅骨痛,阴股引髀而痛,阴器扭痛,上引脐两胁痛,引膺中脊内痛。治在燔针劫刺,以治为数,以痛为输,命曰孟秋痹也。
본 비경 경근의 질병은 엄지 발가락과 내측 복사뼈의 통증, 근육경련통증, 무릎 내측뼈의 통증, 대퇴부 내측에서 서혜부 대퇴골로 당기는 통증, 생식기 통증, 배꼽및 양측 갈비뼈를 위로 당기는 통증, 가슴을 당기는 척추내 통증이 있다. 화침으로 치료하는데 자침과 발침을 빨리하고, 치료 되는 만큼 여러번 행하고, 아픈 곳을 혈로 정한다. 이를 맹추비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