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풍 전조증상및 요산 수치 내리는 예방법및 운동법

통풍 전조증상및 요산 수치 내리는 예방법및 운동법



통풍(痛风)이란 ?


통풍(gout)은 혈액내에 요산(尿酸)의 농도가 높아져서 생긴 

요산염 결정(结晶)이 관절 내의 연골, 관절의 주위 조직에 침착되는 질병으로 

관절의 염증을 유발하고 극심한 통증을 수반합니다.


통풍이 생기는 원인 ?


요산은 체내에서 피리미딘과 퓨린 대사 과정중에서 생성되는 물질로  

소변을 통해 체외로 배출시켜  혈중의 요산 농도를 균형있게 유지 합니다.

요산 혈중 농도 정상범위 남성은 3.4~7.0mg/dl, 여성은 2.4~6.0mg/dl입니다. 

그러나 요산의 과도한 생성과 재흡수 혹은 배설 장애로 혈중 내에 요산수치가 높아지

면 통풍이 생길수 있습니다.

대부분은 음식 섭취와 관련이 높습니다.


1. 과도한 단백질 섭취

2. 과도한 음주

3. 과도한 과당(정제설탕)섭취

4. 수분 섭취 부족

5. 신장기능 저하 

     

통풍이 쉽게 발생하는 부위 :


통풍하면 엄지 발가락 관절에 주로 발생하고 

발목 손목 팔꿈치, 무릎등  팔다리에도 생깁니다.  


통풍이 쉽게 발생하는 분들:


비만 체형을 가지고 있고 음주를 자주 하시는 분, 

부모님이 통풍이 있는 유전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는 분들이 

쉽게 발생합니다.


통풍의 증상및 발병 특성 


1. 무증상기:

혈중 요산 수치는 높지만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기간으로 

요산 결정이 관절에 축척되는 시기 


2. 초기 급성 발작기:

관절부위에(주로 엄지발가락 관절) 통증이 갑자기 발생하고 

통증 부위가 붉게 붓고 심한 열감이 발생합니다.

바늘로 찌르는 듯한 통증이며, 

살짝 스치기만 해도 견딜수 없이 아프며 

야간에 통증이 더 심하게 나타나고 

통증으로 수면에 영향을 줍니다.

1~2주간 통증이 있다가 사라집니다. 


3. 중기 간헐적 발작기: 

초기 급성 발작기 이후 증상이 사그라 들지만 

요산결정은 지속해서 체내에 쌓여가는 시기 입니다.  

통증이 간헐적으로 나타나고 통증이 발생하는 간격이 점점 짧아 집니다. 


4. 후기 만성화 :

 혈중 요산수치가 고농도를 유지하며 

요산 결정이 관절에 쌓여 관절의 변형과 볼록 튀어나오는 토피를 만듭니다.

신체 곳곳에서 요산 결절이 관찰되며 

신장결석 요로결석 고혈합 심근경색등등 합병증을 유발합니다. 


요산 수치가 높지만 

통풍 증상이 한번이라도 나타나지 않았다면  

관리를 통해서 통풍의 증상이 아예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것이 

최고의 예방법이고 치료법입니다.  

요산이 높게 나오면 요산 수치를 주기적으로 체크를 해보고 

적극적인 관리에 들어가는게 좋습니다.  

통풍의 병은 큰 문제는 아니지만 

만성화 단계에 접어들면 당뇨처럼 합병증을 유발할수 있는 질병이기에 

꼭 주의를 해야만 합니다. 


통풍 전조 증상 :


통풍 증상은 없고 

혈중 요산 수치가 높은 경우 혹은 정상 범위에 있을지라도 

가족력이 있으면 아래와 같은 증상이 생기면 주의를 하시는게 좋습니다. 


1. 장기간 비만형 신체

2. 장기간 만성피로 무기력감

3. 장기간 미열이 발생

4. 어느 순간 발목이 뻣뻣한 느낌이들고  

    계단을 오르내리고 하는데 발목 관절이 굽혀지지 않고 

    나무토막 같은 느낌이 든다  

5. 발목을 접지르지 않았는데 접지른 거처럼 발목이 아프다. 

    그런데 발목이 붓지는 않는다 

6. 발과 정강이의 살이 살짝 붓는다, 아침엔 빠지고 저녁엔 붓는다 

    (저녁에 양말을 벗을때 양말 자국이 보인다 )

7. 발의 바깥쪽 복숭아뼈의 피부가 볼록 솟아 올랐고 딱딱하다.

8. 매일 규칙적으로 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 까지 얼굴이 붓고 뻣뻣하며 

    열이 나는 느낌이 들다가 6시 이후로는 증상이 사라진다.. 

9. 음주를 하면 다음날 얼굴이 꼭 붓는다.


요산 수치를 내리는 방법


요산 수치를 올리는 음식을 자제 하고 

요산이 재흡수되는 것을 막는것이 관리의 핵심입니다.


1. 절대금주 

퓨린이 많이 함유된 보리로 만든 맥주만 안먹으면 

통풍을 피할수 있다고 여기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는 잘못된 상식으로 

모든 주류, 즉 알콜은 소변으로 배출할 퓨린을 재흡수시켜서 

혈중내의 요산 수치를 높이는 큰 주범중의 하나입니다.

통풍이 있다면 어떤 술이 됬든 꼭 금주를 하셔야 합니다.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통풍은 금주를 해야 합니다
통풍은 절대 금주


2. 음식조절 : 

퓨린 함유량이 적은 음식을 드시는게 좋습니다.


저 퓨린 식품:

감자, 고군마, 브로콜리, 오이, 상추, 양배추, 애호박, 청경채, 

쌀, 옥수수, 통곡물, 당근, 가지, 체리, 바나나, 수박, 포도, 오렌지, 


고퓨린 식품:

표고버섯, 육류, 해산물, 동물의 내장류, 조개류, 생선의 알, 등푸른 생선류, 각종 주류,

각종 과당탄산음료, 과일주스, 당이 첨가된 식품, 유제  


3. 다이어트 

저 퓨린 음식을 드시는것도 좋지만 

비만일 경우 본인에게 맞는 일일 칼로리에 맞추어서

체중을 감량하는게 좋습니다. 

과식을 하게 되면 퓨린이 많이 생성 될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요산의 수치를 내리려면 결국 입의 심심함을 조절해야 합니다.


운동법


빠르게 걷기 혹은 만보 걷기가  좋은 운동이 될수 있습니다. 

통풍이 쉽게 발작하는 부위가 발이기에 

과격한 운동은 오히려 해가 될수도 있습니다.

식후 1시간 이후에 최소 한시간 정도 걷는 것을 추천드리며

복부에서 완전히 소화가 되었다는 느낌이 들고  

등에서 땀이 송글솔글 날 정도의 걷기 운동을 하시면 더 좋습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