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胃)의 기능과 족양명위경(足阳明胃经)의 경락및 경근(经筋)

위의 기능과 족양명위경의 경락및 경근


위(胃)는 육부(六腑)의 하나로 

위완(胃脘)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위는 음식물을 받아 들이는 장소라서

큰창고(太仓) 혹은 음식물의 바다(水谷之海)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위는 3부분으로 나뉘는데 

위의 상부(上部)는 상완(上脘)으로 분문(贲门)을 포함하고 

위의 중부(中部)는 중완(中脘)으로 위체(胃体)이고

위의 하부(下部)는 하완(下脘)으로 유문(幽门)을 포함합니다.


위는 음식을 받아서 소화 시키고 흡수 하는 중요한 장기로

비장(脾脏)과 짝궁이 되는 표리(表里)관계 입니다.


위의 主通降,以降为合의 기능과 

비장의 脾主运化,脾主升清의 기능의 조합으로 

음식물을 소화시키고 신체 전반에 

영양을 공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장의 기능 알아보기


위의 기능


1. 主收纳、腐熟水谷:


   음식물을 받아 들이고, 소화시켜 작은 음식 알갱이(食糜)로 만듭니다. 

   위는 음식물을 받아들이는 곳이라 하여 

   큰창고(太仓),음식물의 바다(水谷之海)로 말하기도 하며  

   위에서 음식물을 큰 덩어리에서 아주 작은 알갱이로 만듭니다. 


2.主通降、以降为合:


   음식물을 아래로 통하게 하고, 내려가는 것을 기준으로 합니다.  

   위(胃)에서 음식물을 처음 소화 시킨후 

   아래 소장(小肠)으로 내려가게 해서  

   좀 더 소화를 시킨후 영양물질을 전부 흡수하여 

   기혈진액(气血津液)을 만들어 전신에 공급합니다. 

   음식물의 영양 섭취를 위해서 

   음식물이 위(胃)에서 아래에 있는 소장(小肠)으로 통하게 하고,

   입에서 입으로 역행(逆行)하는 것이 아닌 

   위에서 소장으로 내려가는 것으로 기준을 둡니다. 

 

족양명위경락(足阳明胃经)   


족양명위경 위경락 순환도
족양명위경 위경락  순환도

卷三 经脉第十 위경락(足阳明胃经)

胃足阳明之脉,起于鼻之交頞中,旁纳太阳之脉,下循鼻外,入上齿中,还出挟口环唇,下交承浆,却循颐后下廉,出大迎,循颊车,上耳前,过客主人,循发际,至额颅;其支者,从大迎前下人迎,循喉咙,入缺盆,下膈,属胃络脾;其直者,从缺盆下乳内廉,下挟脐,入气街中; 其支者,起于胃口,下循腹里,下至气街中而合,以下髀关,抵伏兔,下膝膑中,下循胫外廉,下足跗,入中趾内间;其支者,下廉三寸而别,下入中趾外间;其支者,别跗上,入大趾间,出其端。

위경락(足阳明胃经)은 비익(鼻翼) 양측에서 시작하여, 비량(鼻梁) 위로 향하여, 족태양경맥(足太阳经)과 연결되며, 코의 외측면을 따라서 아래로 내려와, 상치조(上齿槽: 윗니가 자라는 상악골)에 들어가고, 다시 입을 둘러 싸고 돌아서, 아래의 승장(承浆)혈과 연결되고, 뺨아래 뒤로 흘러서, 대영(大迎)혈에 나와서 협차(颊车)혈을 따라서, 귀 앞에까지 이르고, 족소양경(足少阳)을 지나서, 머리가 나있는 앞 이마에 까지 이른다. 그것의 지맥(支脉)은 대영혈 앞에서 인영(人迎)혈 아래 쪽으로 흘러서, 목구멍(喉咙)을 따라서 결분(缺盆)혈에 들어가고, 아래로 횡격막을 관통해서, 위에 속하고 비장에 연결된다.  그 직행(直行)하는 지맥(支脉)은 결분혈에서 유방의 내측으로 이동하고, 다시 아래로 향하여 배꼽을 둘러싸고 지나서, 음모 양측의 기가(气街) 부위에 들어간다; 또다른 지맥(支脉)은 위의 입구에서 시작하여, 아래로 복부 안을 순환하여, 기가 부위에서 직행(直行)하는 지맥(支脉)과 서로 만나서, 다시 이곳에서 아래로 비관(髀关)에 이르고, 복토(伏兔)혈을 지나고, 무릎을 지나서, 경골 외측을 따라서, 발등에 이르고, 중지(中趾)내측에 이른다;   또 하나의 지맥(支脉)은 무릎아래 3촌 지점에서 나오는데 발 중지(中趾) 외측에 이르고; 또 다른 지맥(支脉)은 발등에서 엄지발가락에 들어가서 바로 엄지 발가락 말단에서 나온다 (족태음비경(足太阴脾经)과 서로 연결된다.)                     

是动则病洒洒振寒,善呻,数欠,颜黑,病至则恶人与火,闻木声则惕然而惊,心欲动,独闭户塞牖而处。甚则欲上高而歌,弃衣而走,贲响腹胀,是为骭厥。是主血所生病者,狂疟,温淫,汗出,鼽衄,口喎唇胗,颈肿喉痹,大腹水肿,膝膑肿痛,循膺,乳,气街,股,伏兔,骭外廉,足跗上皆痛,中趾不用。气盛则身以前皆热,其有余于胃,则消谷善饥,溺色黄;气不足则身以前皆寒栗,胃中寒则胀满。为此诸病,盛则泻之,虚则补之,热则疾之,寒则留之,陷下则灸之,不胜不虚,以经取之。盛者,人迎大三倍于寸口;虚者,人迎反小于寸口也。

기(气)가 동(动)하면 병이 생기는데, 몸이 으스스 춥고 떨며,  자주 끙끙거리고, 하품을 여러번 하며, 얼굴이 검고, 병이 생기면 사람과 불(빛)을 싫어하며, 나무 소리만 들어도 놀라고 무서워하며, 발정이 나고, 문과 창을 닫고 혼자 있는다. 병이 심해지면 높은 곳에 올라가 노래를 부르며,옷을 벗고 뛰어 다니며, 복부팽만에 장에 소리가 울리는데, 이를 한궐(骭厥)이라 한다. 주로 혈(血)에서 생기는 병은 광뇌(狂疟), 온음(温淫), 땀이 나고, 코 막히고 코피가 나며, 입이 한쪽으로 삐뚤어지며 입술에 부스럼이 생기고, 목이 붓고 목구멍이 아프며, 상복부에 수종이 생기고, 무릎이 붓고 아프며, 가슴(흉부), 유방, 기가(气街), 대퇴부, 복토, 정강이 외측면, 발등 등에서 아프고, 가운데 발가락을 못쓴다.  기(气)가 성하면(气盛) 신체의 앞부분이 모두 열(热)이 있고, 그 열이 위에 머무르게 되면, 소화를 잘시키고 배고픔을 자주 느끼며 소변색이 노랗다; 기가 부족하면(气不足) 신체의 앞부분이 모두 떨듯이 춥고, 위가 차가워 창만(胀满) 해진다. 위와 같은 병은 성(盛)하면 사(泻)하고, 허(虚)하면 보(补)하며,열(热)이 있으면 침 자극만 주고, 한(寒)이 있으면 유침(留针)을 하며, 기가 허해서 아래로 꺼지면 뜸을 하고, 실하지도 않고 허하지도 않으면 본 경락에서 치료 한다. 기가 항진이 되면 인양맥이 촌구맥보다 3배 크고, 기가 허하면 인양맥이 반대로 촌구맥보다 작다.     


족양명위경근(足阳明胃经筋)


족양명위경근
족양명위경근

卷四 经筋第十三 족양명위경근(足阳明胃经筋)

足阳明之筋,起于中三指,结于跗上,邪外上加于辅骨,上结于膝外廉,直上结于髀枢,上循胁,属脊。其直者,上循骭,结于膝;其支者,结于外辅骨,合少阳;其直者,上循伏兔,上结于髀,聚于阴器,上腹而布,至缺盆而结,上颈,上挟口,合于頄,下结于鼻,上合太阳。太阳为目上网,阳明为目下网;其支者,从颊结于耳前。

족양명경(足阳明经)의 근(筋)은 두번째,세번째,네번째 발가락에서 시작되어, 발등에 연결되고, 바깥으로 기울어서 비골에 붙어서 이동하여, 위에 무릎 외측면에 지나서, 비추(髀枢)로 곧바로 이어지고, 위로 갈비뼈를 순환하여, 척추에 연결된다. 발등에서 바로 올라 가는 것은, 정강이를 지나고, 무릎에 연결된다;  이곳에서 근(筋)이 따로 나와서 비골에 연결되고, 족소양(足少阳)과 서로 합쳐진다;곧바로 무릎에서 복토(伏兔)로 연결되고, 위의 대퇴부 비(髀) 부위에 이어져, 생식기에 이른 후, 위의 배로 이어져 퍼진후에, 결분(缺盆)혈에 이르러 매듭짇고, 위로 목에 이르러, 입을 감싸고 올라가서, 관골(颧骨)에 도달하고, 아래 코에 연결되어, 위에 족태양경근(足太阳经筋)과 합쳐친다. 족태양(足太阳经筋)은 윗눈꺼풀을 담당하고, 족양명경근(足阳明经筋)은 아래눈꺼풀을 담당한다;또 다른 지맥(支脉)은 얼굴 뺨에서 나와 귀 앞에 연결된다.         

其病足中指支胫转筋,脚跳坚,伏兔转筋,髀前肿,㿉疝,腹筋急,引缺盆及颊,卒口僻。急者,目不合,热则筋纵,目不开。颊筋有寒,则急,引颊移口,有热则筋驰纵,缓不胜收,故僻。治之以马膏,膏其急者;以白酒和桂,以涂其缓者,以桑钩钩之,即以生桑碳之坎中,高下以坐等。以膏熨急颊,且饮美酒,啖美炙肉,不饮酒者,自强也,为之三拊而已。治在燔针劫刺,以治为数,以痛为输,名曰季春痹也。

족양명경근의 병은 가운데 발가락및 정강이 근육에 생기는 근육통, 발등이 튀고 경직되며, 복토(伏兔) 부위에 근육통, 대퇴부 비(髀) 부위가 붓고, 고환이 붓는 퇴산, 복근이 경직되고 쥐가 나기도 하며, 결분(缺盆)혈에서 뺨까지 당겨져서, 갑자기 입이 삐뚤어진다.  급한 증상은(한(寒)이 있으면), 눈이 감겨지지 않으며, 열(热)이 있으면 근이 늘어져, 눈을 뜰수가 없다. 뺨의 근(筋)에 한(寒)이 들면, 근이 경직되고 당겨지게 되어, 뺨을 당기고 입을 이동시키고, 열(热)이 있으면 근이 늘어져, 수축이 되지 않아서, 입이 삐뚤어지게 된다. 마고(马膏)로 치료를 하는데, 그 한기 증상이 있는 곳에 사용하고; 백주와 계(桂)를 이용해서, 열로 인한 증상에 바르고, 뽕나무 갈고리로 입에 걸어서, 뽕나무 목탄을 만드는 얼굴 높이의 구덩이에 앉는다. 마고를 한(寒) 증상이 있는 뺨에 바르고 따뜻하게 쬐어주며, 미주(美酒)를 마시고, 좋은 구운 고기를 먹는다, 술을 못먹는 자는, 스스로 이겨 내야만 하는데, 이를 위해 세번 두드려 줄 뿐이다. 화침(燔针)으로 속자속발(速刺速拔)로 치료하고, 아픈 부위를 정확히 헤아려 자침의 수를 정하고, 아픈 곳을 혈위로 하는데, 이를 계춘비(季春痹)라 부른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