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초경락은 난소, 고환, 유방, 대소변을 연결하는 실체가 있는 경락 입니다.

 삼초(三焦) 경락은 난소, 고환, 유방, 대소변에 연결되는 실체가 있는 경락 입니다. 


황제내경 영추경 경맥에 삼초 경락이 기술 되어 있는데, 삼초가 어떤 장부(脏腑)인지 구체적인 설명이 없습니다. 12경락은 장기(脏器)와 뇌(脑)와 몸체(体表)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인데 삼초가 어디에 있고 어떤 장기인지 설명이 안되어 있어서 현재는 삼초가 실체가 없는 장부로 여기고 있습니다. 


비장 경락 구성도
비장 경락 구성도 

👉👉경락 개념및 구조 알아보기 


옛 선인들은 정말 삼초를 실체가 없는 장부로 여겼을까요? 


삼초경락 순환도
삼초경락 순환도



삼초의 의미:


삼초(三焦)는 삼(三)과 초(焦)로 된 단어 입니다. 삼은 숫자 셋을 나타내는 것이고, 초는 타다, 태우다, 그을리다는 뜻으로 초미(焦眉): 눈썹을 불태우다, 노심초사(劳心焦思): 몸시 마음을 쓰며 애를 태운다라는 뜻으로 초(焦)를 매우 급하다는 뜻과 동일 하게 쓰입니다. 삼초의 의미는 3가지의 급한 것입니다.


옛시대부터 중국어 일상 표현 중에 삼급(三急)이라는 단어가 있습니다. 3가지의 급한 것을 표현하는 것인데 

1. 内急:대소변이 필요한 급박한 생리현상 

2. 性急:신혼 첫날 첫관계를 가지려는 급박한 상황

3. 心急:아기를 출산할때 기다리는 급박함 

중국인들이 옛시절부터 말하는 삼급은 성(性)과 대소변의 생리현상을 말하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성과 관련된 난소와 고환에 연결된 경락은 언급이 없습니다. 경락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본다면 분명 몸안에 있는 장기는 반드시 경락에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내몽고의학에서는 정부(精府)라는 경락이 있어서 난소와 고환에 연결이 되어 있다고 합니다. 

그럼 중국 의학인 12경락에도 난소와 고환에 연결된 경락이 있어야 하는데 현재 실체가 없다는 삼초 경락과 연결지을수 있습니다. 그이유는 삼초 경락의 기순환이 난소, 고환, 항문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남자와 여자의 성(性)인 난소와 고환의 위치가 다르니 한단어로 정의를 내리기는 어려웠을테고, 《黄帝内经-灵枢经-营卫生会》에서 下焦者,别回肠,注于膀胱,而渗入焉。삼초중의 일부인 하초(下焦)에서 대변 소변의 기능을 언급한것으로 보아 성과 대소변의 생리 현상과 일치 합니다.  영추경 本输와 邪气脏腑病形에서 삼초는 소변 불통을 언급하였습니다.          

한자는 같은 의미일지라도 문어체와 구어체에 따라서 표현 방식이 달라집니다. 삼초(三焦)는 삼급(三急)이라는 표현을 문어체에 어울리게 표현 한것처럼 보입니다. 즉, 같은 의미 다른 표현 으로 생리현상을 장기에 빗댄 표현 입니다. 

삼초경락은 난소, 고환, 유방과 연결 되어 있고, 대소변과 관련 있는 경락입니다.     



삼초의 기능:


1. 通行元气:

전신으로 원기를 소통 시킨다. 

《难经-六十六难》“三焦者,原气之别使也”삼초는 인체의 원기를 소통시킨다.

 

2. 运行水液:

수액을 운행한다

《素问 灵兰秘典论》曰:“三焦者,决渎之官,水道出焉“삼초는 물을 관리하는기관으로 물이 나오는 수도이다. 


삼초의 질병:


1. 삼초 경락과 연결된 부위: 

유방, 난소, 고환 관련된 암을 포함한 모든질환, 방광 관련된 일부 질환(유뇨증, 폐륭), 항문과 관련된 일부 지환(치루, 치질)

2. 다른 장부의 상태를 반영: 

삼초의 通行元气의 작용으로 다른 장부의 질환 상태가 심각할때 삼초 경락에서 반응이 생깁니다. 예를 들어 위암 환자는 위의 경락에서 질병의 반응이 나타날 뿐만 아니라 위의 경락을 보호하기 위해서 삼초 경락이 通行元气의 기능이 작동을 합니다. 즉, 질병의 현재 상황을 알려주는 경락 입니다.   


삼초의 특별한 기능:


삼초경락은 난소, 고환, 유방, 방광과 항문에 연결되어 있는 실체가 있는 경락 입니다. 지금까지 삼초경락은 장부와 연결되지 않는 경락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이는 틀린것입니다. 비장경락이 비장과 췌장과 연결 되어 있듯이 경락이 반드시 하나의 장기와 연결 된것이 아니라는 것을 인지 한다면 삼초의 의미도 이해하실수 있을것이라 믿습니다. 


👉👉비장경락 바로 알기 


삼초경락은 삼초와 연결된 부위의 질병 뿐만 아니라 특수한 기능이 하나 더 있습니다. 바로 질병의 상태를 반영하는 경락입니다. 

유명한 중의사들은 진맥후 병의 경중(轻重)과 예후를 판별할수 있고 심지어는 사망 날짜까지 예측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진맥중 어떠한 원리로 알수 있을까요? 그것은 삼초경락의 반응을 느낄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로 위암 환자와 위의 양성암 혹은 위염위궤양이 있는 자는 이렇게 반응이 나옵니다. 위암이 있으면 위경락과 삼초경락에서 기반응이 나오고 위의 양성암 혹은 위염위궤양일 경우에는 위경락에서만 기반응이 나옵니다. 

위암의 경우 항암치료를 하던 자연치료를 하던 삼초경락의 오수혈 기반응이 사라지면 살수 있는 것이고 그렇지 못하면 계속 암과 싸워야 하는 자기의 몸상태를 나타내 줍니다. 비록 항암치료를 하고 모든 지표가 정상으로 돌아 올지라도 인체에서 삼초경락의 기반응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언젠가는 재발할수 있는 시한폭탄과 같은 상황입니다.

위에 양성암이 있고 아무리 심한 위궤양같은 질환이 있을지라도 삼초경락 오수혈에 기반응이 안나타나면 죽을 병은 아닙니다. 단지 몸이 아주 불편할 뿐입니다.

위경락과 삼초경락 모두 오수혈에 기반응이 나오는 경우 위경락에 자침을 하고 난후 삼초경락의 기반응이 바로 사라 진다면 아직은 위험하지 않지만 계속해서 몸을 관리하지 않으면 위험해질수 있는 신호탄이 됩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