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의 시작과 끝을 알려주는 비장경락 오수혈의 은백혈

 생리의 시작과 끝을 알려주는 비장경락의 오수혈 은백(隐白) 혈(穴)


여성은 보통 14세부터 49세 전후 폐경이 될때까지 생리를 하게 됩니다. 생리를 매달 하는 경우도 있고 불규칙하게 할때도 있습니다. 규칙적으로 생리를 하게 되면 몸상태가 아주 좋은 것이고 생리를 하지 않거나 생리 주기가 불규칙 할경우 임신이 되거나 혹은 몸상태가 안좋다는 것을 보여주는 신호 입니다. 

여성의 몸에서 생리가 곧 오려거나 이제 곧 끝날것 같은것을 알려주는 신호가 있다면 얼마나 편할까요? 그렇게만 된다면 내몸 스스로 케어하는데 큰도움이 될텐데 말입니다.   


비장경락 오수혈의 정혈 은백혈
비장경락 오수혈의 정혈 은백혈


비장경락 오수혈의 정혈 은백(隐白)혈


엄지 발가락 발톱 내측면 모서리에 은백혈이 있습니다. 

은백(隐白)의 隐은 은밀(隐秘)하다라는 뜻이고, 白은 하얗다는 뜻입니다. "은밀한 하얀색" 입니다. 아무리 보아도 이 단어가 의미하는 뜻을 이해할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옛 의학자들은 백(白)의 의미를 오행(五行)의 이론을 끌여들여 폐의 색깔로 의미를 부연합니다. 그 이유는 오수혈 정혈을 阴井木, 阳井金으로 기술하였기에 오행에 속한 백을 폐(肺)와 연결시킨것입니다. "은밀한 폐의 흰색"으로 해석을 할수 있는데 이럴 경우 더 이해가 안됩니다.    

비장경락 오수혈의 태백혈
비장경락 오수혈의 태백혈

 비장경락 오수혈에는 태백(太白)이라는 혈이 있습니다. 이 또한 옛 의학자들은 "큰 폐의 흰색"으로 해석을 합니다. 도무지 이해가 안됩니다. 혈의 이름을 지으신 분들은 분명 그 의미를 생각하고 붙이셨을 것입니다. 

 폐는 흰색과 연결되는데 폐경락 오수혈에는 오히려 백(白)이 붙는 경혈이 없습니다. 그럼 백(白)은 다른 뜻을 나타내는 것은 아닐까요? 

   

 12경락 오수혈에서 백(白)이 붙는 경혈은 오직 비장경락의 은백혈과 태백혈 입니다.


👉👉비장경락 오수혈 자세히 알아보기



은백(隐白)의 의미:


은백(隐白)의 隐은 은밀(隐秘)하다 이며, 白은 깨끗하다 입니다. 백은 하얗다라는 뜻도 있지만 깨끗하다 라는 의미도 있습니다. 이 두단어를 합쳐서 예기하면 "은밀하게 깨끗해진다"인데 좀더 풀어보면 "은밀하게 왔다가 깨끗해진다" 라는 뜻입니다. 


어떤것이 은밀하게 왔다가 깨끗해질까요? 

입밖으로 말하기에는 조심해야 되고 부담이 되는 뜻이 아닐까요?


은백 혈의 대표적 기능중에 하나가 자궁에 출혈이 있을때 은백혈에 자침을 하면 출혈이 멈춥니다. 즉, 은백혈은 자궁의 출혈과 관련 있는 일을 담당하는 것으로 비정상적인 자궁 출혈이 있을 경우에는 치료를 할수 있는 혈이 됩니다.  

 태백(太白)은 자궁 생리통이 있을 경우 기반응이 나옵니다. 특히 자궁체에 문제가 있는 생리통시 이곳에 자침을 하면 통증이 감소하는 경혈중 하나 입니다. 


백(白)의 의미는 자궁과 관련이 있고 생리와 관련이 있는 단어로 볼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은백혈은 자궁과 생리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경혈입니다.     



은백혈의 반응:   

 

생리 오기 하루 이틀전에 비장경락 오수혈의 정혈인 은백혈에서만 기반응이 나옵니다. 즉 생리를 시작하겠다는 신호입니다. 생리를 시작하고 끝날때까지 은백혈에서 기반응이 계속 나오는데 생리 시작시에는 강한 기반응이 나오며 생리가 끝날 무렵에는 기반응이 실처럼 약해지고 생리가 끝나면 기반응이 완전히 사라집니다. 생리가 있을때만 기반응이 나오는 특별한 혈입니다. 


은백혈의 기능:


은백혈은 여성이 생리를 할때 자궁경부를 열고 닫는 스위치 기능을 담당합니다. 여성은 생리주기를 평균 28일을 기준으로 삼지만 개인마다 차이가 있어서 생리주기가 다 다릅니다. 본인이 가지고 있는 주기에 생리를 하는데 은백혈은 그 때가 되면 자궁경부를 열고 닫는 스위치 역할을 합니다. 

 

은백혈과 생리불순과의 관계:


생리주기가 되면 은백혈에서는 반드시 생리 기(气)반응이 나오면서 생리를 하게 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여성의 규칙적인 현상입니다. 생리를 할 기간인데 생리 소식은 없고 은백혈에서는 기반응이 나올때는 생리를 할수 있는 조건이 안된 것입니다. 

즉, 은백혈에 반응이 있는데 생리를 하지 못한다면 생리할 준비가 되지 않은 것입니다. 특히 간과 난소의 기능이 떨어지면 생리가 지연되거나 건너 뛸수 있습니다. 불규칙한 주기가 나타납니다.


👉👉고3 수험생이 생리 못하는 이유

 

여성이 생리를 할수 있는 조건이 안된다는 것은 몸상태가 그리 좋지 못하는 신호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생리는 몸의 건강 상태를 알려주는 지표가 됩니다. 생리 주기가 불규칙한 시간이 장기간 지속되면 건강검진을 받아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은백혈 침치료: 


부인과 자궁 관련 치료에 특화된 경혈입니다.
생리기간이 아닌 자궁출혈, 자궁근종에 의한 과다출혈등 비정상적 자궁출혈을 주로 치료 합니다.  


은백혈 침치료 주의점: 

 

은백혈은 여성에게 정말 중요한 경혈입니다. 매번 생리를 할때 생리혈이 나오게 만드는 전원을 끄고 켜는 스위치 역활을 하는데 이는 정상적인 반응입니다. 그런데 생리를 할때 만일 은백혈에 자침을 한다면 생리가 멈추게 됩니다. 켜진 스위치를 침치료를 통해서 꺼버리는 것입니다. 그래서 조심해야 할 경혈입니다. 


생리중에 침을 맞아도 될까요? 


이런 질문을 많이 듣습니다. 당연히 침을 맞아도 됩니다. 그런데 은백혈에는 반드시 자침을 하지 않아야 되고 특히 복부의 자궁 관련된 경혈에 침을 놓아서도 안됩니다. 이러한 혈자리를 피하면 생리기간에도 침치료는 할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감기에 걸린 경우 비장경락과 폐경락 오수혈 모두 기반응이 발생합니다. 이럴 경우에는 반드시 폐경락과 비장경락 오수혈 모두에 자침을 해야 됩니다. 


👉👉감기 독감 오수혈 자석패치 치료 알아보기 


그런데 여성의 경우 생리 기간에 감기를 걸렸다면 은백혈에는 자침을 절대 하면 안됩니다. 감기는 고칠수 있지만 생리가 멈추게 되는 부작용을 가지게 됩니다. 생리기간에는 비장경락 은백혈을 뺀 나머지 오수혈 4개에 자침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여성의 경우 생리를 하는 분들은 침치료시 본인의 생리 주기를 아는게 침치료에 도움이 됩니다. 


👉👉생리주기및 임신 피임법 알아보기       


만일 생리 기간에 엄지발가락 은백혈에 강한 타박상을 입으면? 이또한 생리가 멈출수 있는 조건이 될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옛 시절에는 생리기간에 몸을 조심히 해야 한다는 것을 관습처럼 여겨질 때가 있었습니다. 발은 제일 손상받기 쉬운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